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흐름을 읽어나가다/알기 쉬운 정부 혜택

행복주택 조건 및 신청방법

by 별이쿤 2024. 10. 18.
반응형

요즘 행복주택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하는데요. 

정확하게 어떤 조건을 지니고 있어야 행복주택에 들어갈 수 있는지를

몰라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행복주택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목록
  • 행복주택이란?
  • 행복주택 조건
  • 행복주택 신청방법
  • 행복주택 서비스 내용

 

행복주택이란?

 

청년,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 대학생 등을 위해 대중교통이 편리하거나 직장과 가까운 곳에,

주변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합니다.

 

행복주택 조건 

1. 대학생

  • 대상: 미혼의 무주택자. 현재 대학에 다니거나 다음 학기에 입학할 예정인 사람, 혹은 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2년 이내인 사람
  • 소득: 본인과 부모의 합산 소득이 전년도 평균 소득의 120% 이하(1인 가구), 110% 이하(2인 가구), 100% 이하(3인 이상 가구)
  • 자산: 본인 총 자산 1억 원 이하, 자동차 없음

 

2. 청년

  • 대상: 미혼의 무주택자. 19세에서 39세 사이이거나, 최근 5년 이내에 소득이 있는 사람, 또는 퇴직 후 1년 이내에 구직급여를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
  • 소득: 세대 소득이 전년도 평균 소득의 120% 이하(1인 가구), 110% 이하(2인 가구), 100% 이하(3인 이상 가구)
  • 자산: 세대 총 자산 2억 7,300만 원 이하, 자동차 3,708만 원 이하

 

3. (예비)신혼부부 및 한부모 가족

  • 신혼부부: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 혼인한 지 7년 이내이거나,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사람
  • 예비 신혼부부: 혼인 예정이며, 세대 구성원 모두 무주택자
  • 한부모 가족: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무주택 세대 구성원
  • 소득: 세대 소득이 전년도 평균 소득의 130% 이하(맞벌이 부부 2인 가구), 120% 이하(1인 가구), 110% 이하(2인 가구), 100% 이하(3인 이상 가구)
  • 자산: 세대 총 자산 3억 4,500만 원 이하, 자동차 3,708만 원 이하

 

4. 주거급여 수급자

  • 대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 주거급여를 받는 사람
  • 소득: 세대 소득이 중위소득의 45% 이하
  • 자산: 소득 인정액 평가 시 반영

 

5. 고령자

  • 대상: 65세 이상의 무주택 세대 구성원
  • 소득: 세대 소득이 전년도 평균 소득의 120% 이하(1인 가구), 110% 이하(2인 가구), 100% 이하(3인 이상 가구)
  • 자산: 세대 총 자산 3억 4,500만 원 이하, 자동차 3,708만 원 이하

 

6. 산업단지 근로자

  • 대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 인근 산업단지에 1년 이상 근무 중인 사람
  • 소득: 세대 소득이 전년도 평균 소득의 130% 이하(맞벌이 부부 2인 가구), 120% 이하(1인 가구), 110% 이하(2인 가구), 100% 이하(3인 이상 가구).
  • 자산: 세대 총 자산 3억 4,500만 원 이하, 자동차 3,708만 원 이하

 

7. 창업인, 지역전략산업 종사자

  • 대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 창업인, 지역전략산업 종사자, 중소기업에서 5년 이상 근무한 사람
  • 소득: 세대 소득이 전년도 평균 소득의 130% 이하(맞벌이 부부 2인 가구), 120% 이하(1인 가구), 110% 이하(2인 가구), 100% 이하(3인 이상 가구)
  • 자산: 세대 총 자산 3억 4,500만 원 이하, 자동차 3,708만 원 이하

 

※참고 ※

무주택세대구성원이란?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행복주택 신청방법

 

해당 공공주택사업자* 홈페이지 및 대표전화 이용하여 확인 후 신청 가능합니다.
* 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경기도시공사 등

 

행복 주택 서비스 내용

 

행복주택은 전용면적 60㎡ 이하의 집을 입주계층에 따라 인근 임대시세보다 60~80%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며,

최대 6년에서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각 계층별 임대료와 거주 기간에 대한 정보입니다.

 

임대료

  • 대학생 및 소득이 없는 청년: 임대료는 시세의 68%
  • 소득이 있는 청년, 창업 및 지역전략산업 지원주택 입주자: 임대료는 시세의 72%
  • (예비)신혼부부, 한부모 가족, 산업단지 근로자, 중소기업 전ㅠ용주택 입주 장기 근속자: 임대료는 시세의 80%
  • 고령자: 임대료는 시세의 76%
  • 주거급여 수급자: 임대료는 시세의 60%

 

최대 거주 기간

  • 대학생 및 청년: 최대 6년 거주 가능
  • 신혼부부, 한부모 가족, 창업지원주택 및 지역전략산업지원주택의 입주자: 자녀가 없는 경우 6년, 자녀가 1명 이상인 경우 10년 거주 가능
  • 주거급여 수급자: 최대 20년 거주 가능
  • 고령자: 최대 20년 거주 가능
  • 산업단지 근로자: 최대 6년 거주 가능

 

지금까지 행복주택에 대해 쉽게 알아봤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뒀으나 구체적인 내용들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주시길바랍니다. 

 

 ♥ 저의 글이 도움 되었다면 "공감 및 구독" 부탁드립니다 ♥

 

출처: https://apply.lh.or.kr/lhapply/cm/cntnts/cntntsView.do?mi=1201663&cntntsId=1201391

 

LH청약플러스

LH청약플러스

apply.lh.or.kr

 

출처: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49&wlfareInfoReldBztpCd=01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49&wlfareInfoReldBztpCd=01

 

www.bokjiro.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