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선박의용어3

3. 선박 용어의 정리(3) 3.3 기본도면 선박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도면으로 선도(lines), 일반배치도(General Arrangement, G/A), 중앙 단면도(Midship secton Arrangement, E/A) 등이 있다. 3.3.1 선도 선도는 정면도(body plan), 측면도(profile or sheer plan), 반폭도(half-breadth plan)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1. 면도 선수수선(FP)와 선미 수선(AP) 사이를 20등분(또는 10등분)하여 얻어지는 폭 방향 수직 평면을 스테이션(station)이라고 하는데, 대개 AP는 0번, FP는 20번 스테이션이 된다. 정면도는 각 스테이션에서의 배의 횡단면을 보여주며, 배는 통상 좌우대칭이므로 오른쪽에 전반부, 왼쪽에 후반부를 그리는 것이 .. 2022. 1. 17.
3. 선박 용어의 정리(2) 3.1.3 배의 크기 선박의 설계 시에는 주로 기하학적인 선체의 치수, 체적 또는 중량 등의 값이 필요하지만, 화물선의 경우에는 배가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 및 체적(또는 용적) 등이 용선, 매매, 운항 통과료의 부과 등에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중량과 용적 등에 대해 차례로 생각하기로 한다. 1. 중량 1) 배수량(displacement, ∇) 배수량은 배가 밀어낸 물의 중량이며,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따르면 배수량은 배의 중량과 같다. 배수량은 통상 톤(ton)으로 표시하며, '배가 밀어낸 물의 체적'(배수 체적)과 물의 비중(specific gravity)의 곱으로 얻어진다. 1톤은 북미에서는 2000lbf(=907kgf), 영국에서는 2240 lbf(=1016 kgf)를 뜻하므로 잘 구분하여 .. 2022. 1. 16.
3. 선박 용어의 정리(1) 3.1.1 주요요목(principal particulars)주요요목은 선박의 길이, 폭, 깊이, 흘수 등을 나타내는 주요치수와 화물적재 능력, 속력, 기관마력 등 선박의 성능을 나타내는 주요 자료를 의미한다. 설계 시 계획된 만재상태에서의 수선(waterline)을 계획만재수선(Designed Load WaterLine, DLWL) 이라고 하며, 여기서 수선은 배가 수평평면인 수표면과 만나는 교선을 뜻하는데 정면도 및 측면도에서는 수평선으로 표시된다. 계획만재수선이 선수재(stem)와 만나는 교점을 지나는 수직선을 선수수선(Forward 또는 Fore Perpendicular, FP), 계획만재수선이 타주(rudder post)의 뒷면과 만나는 교점을 지나는 수직선, 또는 타두재(rudder stock).. 2022.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