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선박해양공학개론20

6. 선박의 저항(1) 6.1 선박의 저항 일정한 속도로 운동하는 배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배에 작용하는 힘을 저항이라고 하며, 뉴턴의 법칙에 따르면 이 힘은 배를 그 속도로 추진하는 데 필요한 힘, 즉 추력과 같아야 한다. 효율적인 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배에 작용하는 저항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박의 저항 추정 방법은 윌리엄 프루드(William Froude, 1810-1879, UK)가 19세기 말 예인수조(towing tank)에서 수행하는 모형시험의 결과를 이용하는 방법을 고안해 낸 이래 현재까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연구, 발전되어 왔다. 물 위를 운항하는 배의 경우 그 주위의 물과 공기로부터 저항을 받으며, 전체저항(total resistance) Rt는 크게 수면 아래 선체에 작용하는 물에 의한 .. 2022. 1. 26.
5. 정적복원성 / 선박관련법과 관련기구 5.1.1 정적복원성(static stability) 1. 정적복원성 정수(still water) 중에서 수평상태(even keel)에 있는 배를 약간 횡경사시킨 경우, 배를 윈래의 직립위치로 복원시키려고 하는 모멘트, 즉 복원모멘트(restoring moment 또는 righting moment)가 발생하면, 배의 수평상태는 횡경사에 대해 안정하며(stable), 그 배는 횡동요에 대해 정적복원성을 가진다고 말한다. 이와 같은 복원성을 정적(static)이라고 하는 것은 운동하는 배와 유체의 속도, 가속도 등을 고려하여 배의 복원성을 논하는 것이 아니고, 변화된 상태(state)에서 배가 받는 수정압(hydrostatic pressure)에 기인하는 힘, 즉 정적인 힘만 고려하여 복원성을 논하기 때문이.. 2022. 1. 24.
4. 근사적분과 도심 / 수정역학적 곡선 4.1.1 근사적분과 도심(centriod) 선도의 정면도로부터 각 스테이션에서의 횡단면적을 구한 후, 이를 길이방향으로 적분하면 배수용적과 배수량, 부심(center of buoyancy) 등을 얻을 수 있다. 또 반폭도로부터 만재 상태 및 각 흘수에서의 수선면의 면적과 도심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배의 다양한 수정역학적 특성 및 트림, 복원 성능 등을 구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박과 관련된 계산은 횡단면이나 수선면과 같이 수학적 곡선으로 나타내기 힘든 도형의 면적을 구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작업은 보통 근사적분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가장 많이 쓰이는 근사적분법으로는 사다리꼴 공식, 심프슨의 공식(Simpson's rule) 등이 있으며, 필요한 값들을 얻.. 2022. 1. 20.
3. 선박 용어의 정리(3) 3.3 기본도면 선박의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도면으로 선도(lines), 일반배치도(General Arrangement, G/A), 중앙 단면도(Midship secton Arrangement, E/A) 등이 있다. 3.3.1 선도 선도는 정면도(body plan), 측면도(profile or sheer plan), 반폭도(half-breadth plan)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1. 면도 선수수선(FP)와 선미 수선(AP) 사이를 20등분(또는 10등분)하여 얻어지는 폭 방향 수직 평면을 스테이션(station)이라고 하는데, 대개 AP는 0번, FP는 20번 스테이션이 된다. 정면도는 각 스테이션에서의 배의 횡단면을 보여주며, 배는 통상 좌우대칭이므로 오른쪽에 전반부, 왼쪽에 후반부를 그리는 것이 .. 2022. 1. 17.
반응형